카테고리 없음

[Ted] The benefits of daydreaming 몽상의 좋은점

noopy00 2022. 9. 15. 15:51
반응형

00:09
On a daily basis, you spend between a third and half your waking hours daydreaming. That may sound like a huge waste of time, but scientists think it must have some purpose, or humans wouldn’t have evolved to do so much of it. So to figure out what's going on here, let’s take a closer look at the mind-wanderer in chief: the bored teenager.

당신은 매일, 하루의 깨어있는 시간 중 1/3이나 1/2의 시간을 몽상하는데 보낸다. 너무 많은 시간낭비라고 들릴 수도 있겠지만 과학자들은 여기에 어쩌면 이유가 있을 거라 생각했다. 그렇지 않고서야 인간이 이렇게 많은 시간을 쓰도록 진화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면 어떤 비밀이 있는지 몽상가 중 최고라고 할 수 있는 “심심한 10대” 한명을 자세히 살펴보자.
00:29
Wouldn’t it be cool to discover something, anything. Like even this plant. Just to be one of those explorers who sails around drawing stuff for years on end and everyone thinks they’re a genius. But does anyone even do that anymore? Is there anything left to discover? And would I be tough enough to deal with the dysentery or scurvy or piranhas or whatever? I barely have the endurance to make it through track practice... but I will. Any day now, I’ll have the discipline to show up before sunrise and practice. I’ll win all my races. Winning will become so easy, I’ll pick up other events just for fun. And once I'm in the Olympics, they’ll have no choice but to crown me team captain, which I will graciously accept. And will I be nasty to the teammate who yelled at me? No. I’ll just calmly say, “hope you’re in a better mood.”

뭔가를 새롭게 발견한다는 건 멋있는 일이지 않을까? 이런 식물 하나 조차도. 그저 수년간 그림 그리며 떠돌아다니는 모두가 천재로 여기는 탐험가가 되는거지. 하지만 그러는 사람이 여전히 있을까? 세상에 발견되지 않은 게 남아 있긴 한가? 그리고 내가 이질(전염병 일종)이나 괴혈병, 피라냐 등등에 버틸만큼 강한가? 힘든 훈련을 견디는 참을성이 거의 없는데… 하지만 해 낼 수 있을거야. 이제 해뜨기 전에 나가서 연습하기로 규칙을 정해야겠어. 그리고 나는 모든 경기에서 이길거야. 우승하는게 점점 익숙해져서 그저 재미로 경기에 참가할거야. 올림픽에 출전하게되면 사람들은 나를 주장으로 세우고야 말겠지. 그리고 난 그걸 기꺼이 받아들일거야. 만약 팀원이 나에게 맞선다면 과연 나는 못되게 행동할까? 아니. 난 그저 침착하게 말하겠지. “너의 기분이 나아지길 바래”.
01:22
Okay. Yours and other people's daydreams might sound or feel something like that. Let's see what was going on. To see what parts of the brain are active when you’re doing a task, or thinking, or daydreaming, scientists use brain imaging techniques that show increased blood flow and energy expenditure in those areas. 좋다. 당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몽상도 이와 비슷하거나 비슷한 느낌일지 모른다. 그럼 어떤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지 보자. 당신이 일을 하거나 생각 또는 몽상을 하고 있을 때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과학자들은 뇌 영상화 기술을 사용해서 그 부분의 혈류 상승과 에너지 소모를 본다.


01:42
These brain areas are active, working together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aken together, they're called the executive network. When your mind starts to wander, a different set of brain areas becomes active. These areas make up the default mode network. The name default mode makes it sound like nothing is going on. And in fact, for many years, scientists associated this pattern of activity with rest. But a closer look reveals that these are the brain areas involved when we revisit a memory, when we think about our plans and hopes, and yes, when our minds are wandering off on a wild daydream. The mind can wander to unproductive or distressing places and brood over negative past events, like an argument. It can also wander to neutral, everyday matters, like planning out the rest of one's afternoon. But where mind-wandering really gets interesting is when it crosses into the realm of free-moving associative thought that you aren’t consciously directing. This kind of mind-wandering is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both ideas and positive emotions, and the evidence suggests that daydreaming can help people envision ways to reach their goals and navigate relationships and social situations. 이들 뇌 영역은 활성화되어 함께 작용하며 서로 소통한다. 이들을 일컬어 실행망이라 부른다. 당신이 몽상을 시작할 때 뇌는 또 다른 부위가 활성화된다. 이들 영역은 기본 상태 망이다. 기본 상태라는 말은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들린다. 그리고 실제로 과학자들은 수년동안 이들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은 휴식과 연관되어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본 결과 이들 영역은 우리가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거나 미래에 대한 계획과 소망을 생각하거나 또 바로 몽상을 할 때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우리의 마음은 비생산적이거나 고통을 주는 생각에 떠돌아다닐 수 있고 언쟁과 같은 과거의 부정적인 사건들에 대해 곰곰히 생각할 수 있다. 물론 특별한 감정이 없는 일상의 일들, 하루의 남은 시간을 계획하는 일들을 떠올릴 수도 있다. 그러나 몽상이 정말로 흥미로워지는 지점은 당신이 무의식적으로 하는, 자유롭게 연상되는 생각들의 영역을 오고갈 때이다. 이러한 종류의 몽상은 생각과 긍정적인 감정을 모두 키워준다. 그리고 사람들이 목표에 도달하고 사회적 상황들과 인간관계에 길잡이가 되는 해안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사실을 그 증거로 확인할 수 있다.


02:48
Scientists think there may be two essential parts to this process: a generative phase of free-flowing ideas and spontaneous thoughts, courtesy of the default mode network, followed by a process of selecting, developing, and pursuing the best ideas from that generative burst, driven by logical thinking thanks to the executive network. A host of imaging studies suggest that these two networks working in sync is a crucial condition for creative thinking. Taken together, the evidence clearly suggests the logical realm of the executive network and the imaginative realm of the default mode network are closely related. And as you can see, the executive network is still playing a role when the default mode network is doing its thing during daydreaming.

과학자들은 이러한 과정에 두개의 필수적인 부분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자유롭게 흘러가는 발상과 즉흥적인 생각의 생성 단계, 이 단계는 기본 상태망에 의한 것이다. 다음은 떠오르는 발상들 중 최상의 아이디어를 선택, 발전, 추구하는 과정이다. 이는 실행망의 논리적인 사고를 사용한다. 뇌 이미징 연구의 주최자는 동시에 작동하는 이러한 두개의 네트워크가 창의적인 사고에 필수조건이라고 말한다. 종합해보면, 실행적 네트워크(executive network)의 논리 영역과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의 창의적 영역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그리고 당신도 볼 수 있듯이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가 몽상을 하는 동안 활성화되어있을 때 실행적 네트워크도 여전히 자신의 일을 하고 있다.
03:30
In teenagers, the prefrontal cortex and other areas involved in executive function are still developing, but teens are perfectly capable of thinking through their problems and goals, especially when given space to do so on their own.

10대 때는 여전히 실행 기능에 관련된 전두엽 피질과 그외 영역들이 발달 중이지만 그들의 문제점 해결이나 목표 달성을 이루는데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그들 스스로가 그렇게 할 수 있는 물리적, 심리적 공간이 확보 되었을 때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