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모저모...

나의 MBTI 성격검사 - INFP T

by noopy00 2021. 8. 4.
반응형

 

 

2021년 8월.

미래에 대한 고민과 불안으로 요동치던 마음이 어느정도 가라앉은 지금, 

오랜만에 MBTI 성격 검사를 해보았다.

참고로, 호주 여행이 한창이던 2년전에 했던 검사에선 ENFJ가 나왔고

다시 회사 생활을 막 시작하고 극도로 예민했던 작년 검사에선 INFJ가 나왔다.

 

 

 

▶ Strengths & Weaknesses

Mediator (INFP) Strengths

중재자(INFP) 강점

 

  • Empathetic – Mediators don’t just care about other people in an abstract sense. These personalities can actually feel another person’s emotions, from joy and elation to sorrow and regret. Because of this sensitivity, Mediators tend to be thoughtful and kindhearted, and they hate the idea of hurting anyone, even unintentionally.
  • Generous – Mediators rarely enjoy succeeding at other people’s expense. They feel called to share the good things in their lives, give credit where it’s due, and uplift the people around them. These personalities want to contribute to a world where every voice is heard and no one’s needs go unmet.
  • Open-Minded – Tolerant and accepting, Mediators try not to judge anyone else’s beliefs, lifestyles, or decisions. This is a personality type that prefers compassion to fault-finding, and many Mediators feel empathy even for those who have done wrong. Because they’re so accepting, Mediators often become confidants for their friends and loved ones – and occasionally for total strangers.

 

  • 공감능력 – 중재자들은 그저 추상적인 의미로 다른 사람들을 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성격은 실제로 기쁨과 즐거움부터 슬픔과 후회하는 감정에까지 상대방의 감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예민함 때문에 중재자들은 사려깊고 정이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생각마저도 싫어합니다. 그게 고의가 아닐지라도 말이죠.
  • 관대한 – 중재자들은 타인이 더 많이 사용하는 것에 대해 즐기는 일이 드뭅니다. 그들은 그들의 삶에서 좋은 것들을 나누고, 나의 잘못이나 타인의 수고에 대해서 인정할 건 인정할 줄 알고, 주변 사람들에게 행복감을 주는 것에 사명감을 느낍니다.
  • 열린 마음 - 너그럽고 수용할 줄 아는 중재자들은 타인의 신념이나 생활 방식, 결정에 대해 판단하려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성격의 타입은 타인 흠잡기에 대해 측은지심을 느끼고 많은 중재자들은 심지어 잘못을 저지른 사람들에게도 감정이입을 합니다. 그들은 굉장히 수용적인 성격이기 때문이죠. 중재자들은 자주 그들의 친구나 사랑하는 사람들의 매우 신뢰할 만한 친구가 됩니다. 가끔은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도 말이죠.

 

  • Creative – Mediators love to see things from unconventional perspectives. Few things give them more pleasure than allowing their minds to wander through all sorts of ideas and possibilities and daydreams. It’s no wonder, then, that many Mediators are drawn to creative pursuits – or that this personality type is well represented among writers and artists.
  • Passionate – When an idea or movement captures their imagination, Mediators want to give their whole heart to it.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ay not always be outspoken, but that doesn’t diminish their strong feelings for a cause that speaks to their beliefs and convictions.
  • Idealistic – Mediators strive to follow their conscience, even when doing the right thing isn’t easy or convenient. They rarely lose sight of their desire to live a meaningful, purpose-filled life – one that helps others and leaves the world a better place.

 

  • 창의적인 중재자들은 관습적이지 않은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것을 좋아한다. 다양한 생각과 가능성, 몽상들 사이에서 떠다니는 것만큼 그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도 없다. 그렇기에 많은 중재자들이 창의적인 일에 매력을 느끼거나 작가와 예술가로 두드러지는 것은 놀랄 일도 아니다.
  • 열정적인 어떤 생각이나 행동으로 중재자들의 상상력이 사로잡힐 때, 그들은 그것에 온 마음을 다하고 싶어한다. 이들이 언제나 솔직하게 자신의 마음을 겉으로 표현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렇다고 그들의 믿음과 신념을 위한 견고한 마음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 이상주의적인  중재자들은 그들의 양심을 지키기 위해 몹시 애쓴다. 심지어 그 옳은 일을 하는 것이 쉽지 않고 불편할 때에도 말이다. 이들은 타인을 돕고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미있고 목적 추구의 삶을 살아가려는 갈망을 잃어버리는 일이 거의 없다.

 

 

Mediator (INFP) Weaknesses

중재자(INFP) 약점

  • Unrealistic – Nothing in this world is perfect – and that can be a difficult truth for Mediators to accept.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can be hopeless romantics, with rose-colored visions of what their lives should be like. This can set Mediators up for disappointment when reality inevitably falls short of their dreams.
  • Self-Isolating – Mediators long to connect with others, but they don’t always know how. Especially in new environments, Mediators may be reluctant to put themselves out there in ways that would help them make new friends or become involved in a new community. As a result,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ay sometimes feel lonely or isolated.
  • Unfocused – Mediators’ imaginative, introspective nature doesn’t always lend itself to productivity. Many Mediators get frustrated by how difficult they find it to buckle down and get things done. The problem isn’t that they are incapable – rather, it’s that they run into problems when they become so caught up in different ideas and ideals that they fail to commit to a course of action.

 

  • 비현실주의적인 이 세상에 그 어떤 것도 완벽한 것은 없다. 이 것은 중재자들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실일 수 있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장미 빛 삶의 모습을 꿈꾸는 가망없는 낭만주의자일 수 있다. 당연한 일이지만 그들이 꿈꾸는 삶에 미치지 못했을 때 이것은 중재자들을 실망감에 빠트릴 수 있다.
  • 스스로 격리하는 중재자들은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길 간절히 바라지만 항상 제대로 될 수는 없다. 특히 새로운 환경에서 이들은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새로운 집단에 소속되기 위해 애쓰는 것을 꺼려할지도 모른다. 그 결과 이 유형의 사람들은 때때로 외롭거나 고립되었다고 느낄지 모른다.
  • 집중하지 못하는 중재자들의 상상력과 자기 성찰적인 특성이 항상 창의적인 무언가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많은 중재자들이 어떤 일을 할 때 온 힘을 쏟고 완수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좌절감을 느낀다. 이때, 그들이 그 일을 해낼 수 없다는 사실보다 그들이 어떠한 행동을 할 수 없게 만드는 서로 다른 생각들과 이상들에 사로잡혀버렸을 때 문제에 빠진다는 것이다.

 

  • Emotionally Vulnerable – The emotional attunement of these personalities is among their greatest strengths. But unless Mediators establish boundaries, they can be at risk of absorbing other people’s negative moods or attitudes.
  • Desperate to Please – Conflict tends to be stressful for Mediators, who yearn for harmony and acceptance. When someone dislikes or disapproves of them, these personalities may become fixated on trying to clear the air and change that person’s mind. Unfortunately, Mediators’ desire to please others can drain their energy, eclipsing their inner wisdom and their awareness of their own needs.
  • Self-Critical – Mediators believe in their unique potential, and they desperately want to live up to it. But this can cause them to have unrealistic expectations for themselves. When Mediators fail to live up to these visions, they may accuse themselves of being useless or selfish or woefully inadequate. Taken too far, this self-criticism can discourage Mediators, leading them to give up on even their dearest dreams.

 

    • 감정적으로 취약한 정서적 공감 능력은 중재자들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이다. 그러나 그 경계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 타인의 부정적인 기분과 태도를 그대로 흡수해버리는 위험에 빠질 수 있다.
    • 타인을 기쁘게 하는 것에 대한 간절함 - 사람들 사이에서 조화와 수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재자들에게 충돌은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누군가가 자신을 싫어하거나 인정해주지 않는 경우 이들은 분위기를 전환시키고 그들의 마음을 바꾸는데 집착하게 될지도 모른다. 불행하게도 타인을 기쁘게 해주고 싶어하는 이들의 갈망은 그들의 에너지를 소모시키고 내면의 지혜와 그들 자신의 마음을 가려버릴 수 있다.
    • 자기 비판적 – 중재자들은 자신들만의 유일한 잠재력을 믿고 처절할 정도로 그것을 펼치며 살고싶어한다. 그러나 이것은 스스로에게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게 만들 수 있다. 만약 이러한 그들의 비전대로 살지 못하게 되는 경우 그들은 자신을 쓸모없다거나 이기적이고 한심하게 무능한 존재로 비난할 지 모른다. 더 심각하게는 이 자기비판이 이들의 의욕을 떨어트리고 심지어 이들이 간절히 원했던 꿈마저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

 


 

Romantic Relationships

연애관계

Mediators (INFPs) are dreamers and idealist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romance.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believe in the power and beauty of true love, and they sincerely hope never to settle for anything less.

It’s fair to say, then, that Mediators approach the world of romance with high expectations. They may have spent years daydreaming about the perfect relationship, imagining how it would feel to share their innermost selves with another person. But the reality of dating can come as something of a shock to Mediators, forcing them to grapple with a challenging question: If they want to be in a relationship, will they have to compromise on their ideals?

 

특히 연애에 있어서 중재자들은 몽상가이며 이상주의자이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사랑의 아름다움과 힘을 믿고 그렇지 못한 관계는 절대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렇기에 중재자들이 연애에 있어서 높은 기대를 가지고 다가가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완벽한 연인관계를 꿈꾸고 그들의 가장 진솔한 내면을 타인과 공유하는 것에 대해 상상하며 오랜 시간을 보내왔을지 모른다. 그러나 실제 연애 세계는 중재자들에게 충격으로 다가 왔을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질문에 고심하게 만들면서 말이다. ‘연애를 하고 싶다면 우리의 이상향과 타협해야 하는 걸까?’

 

Hopeless Romantics

Mediators don’t just want to find a partner – they want to connect with a soul mate. Thoughtful and open-minded, these personalities are generally willing to consider going out with all sorts of people. Mediators pride themselves on their ability to look past a potential partner’s superficial traits – such as appearance, social status, or possessions – and focus on deeper, more meaningful signals of compatibility.

Mediators share a belief that two people can come together in a relationship and make each other better and happier than they were before.

But it would be a mistake to think that Mediators don’t have preconceived standards for a significant other. With their active minds and imaginations,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tend to develop and carry with them a vision of their ideal partner – a vision that may be based on a favorite fictional character, a person they once knew, or simply the stories they’ve told themselves about how love “should” look.

When they meet someone new, most Mediators can’t help but compare that person with the ideal soul mate they’ve envisioned. Unsurprisingly, such comparisons tend to weed out more than a few potential partners. It can be difficult – if not impossible – for a real, flesh-and-blood person to live up to a Mediator’s cherished dreams.

 

형편없는 연애

중재자들은 그저 파트너를 찾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소울 메이트와의 만남을 원하는 것이다. 사려깊고 열린 마음을 가진 이 유형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기꺼이 원한다. 이들은 연애 상대의 외모나 사회적 지위, 가진 것들과 같은 겉모습에 크게 게의치 않고 더 깊고 의미 있는 상호간의 신호에 집중하는 이들의 능력에 스스로 자부심을 느낀다.

<중재자들은 연애 관계를 통해 서로를 발전 시키고 이전보다 더 행복해 질 수 있다는 믿음을 함께 나눈다>

그러나 중재자들이 연애 상대에 대해 미리 세워둔 기준이 없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오산일 것이다. 이들의 풍부한 생각과 상상력으로 이상적인 파트너의 모습을 만들고 계속해서 함께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상적인 파트너의 모습은 상상속의 좋아하는 캐릭터이거나 언젠가 한번쯤 알았던 사람 또는 그저 사랑이라면 자고로 어떤 모습이어야 한다는 그들 스스로가 만들어낸 이야기 일 수 있다.

모든 중재자들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이들은 새로운 사람을 만나면 지금까지 구상해온 이상적인 소울메이트의 모습과 비교한다. 당연하게도 비교라는 것은 가능성 있는 연애 대상을 적지 않게 제거하게 된다.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지극히 평범한 실제 사람에게 중재자들의 소중한 꿈에 만족하는 삶을 산다는 것은 힘든 일이다.

 

Making an Effort

With time, many Mediators come to learn that true love doesn’t just magically happen – it takes compromise, understanding, and work. After all, no partner is perfect, and even the most beautiful relationships have their challenges. Fortunately,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can find a great deal of joy in the effort it takes to strengthen a relationship.

When they fall in love, Mediators reveal just how much passion thrums beneath their quiet exteriors. Devoted and loyal, they nevertheless respect their partner’s independence, aiming to accept their partners as they are. That said, these personalities also want to help their partners learn, grow, and pursue their goals. Mediators are always dreaming up ways to improve themselves and the world around them, and the last thing they’d want is for their partners to feel unhappy or stuck.

Mediator personalities use their compassion and insight to understand the people they care about, and they draw on their creativity to make their partner feel special.

Many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dedicate themselves to helping their partners improve their lives. While this is a noble goal, Mediators must be sure to keep track of their own needs and make sure that their partners are really ready to change. Provided they do so, Mediators’ support and devotion can make all the difference in their partners’ lives.

 

노력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중재자들은 진정한 사랑이 마법처럼 저절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배우게 된다. 그것은 타협과 이해 그리고 노력으로 얻을 수 있다. 이 모든 것들이 있은 후에도 사람은 완벽하지 않고 가장 아름다운 연애일지라도 고난이 있다.

다행스럽게도 이 유형의 사람들은 이러한 노력으로 관계가 더욱 단단해지는 큰 기쁨을 찾을 수 있다.

사랑에 빠지면 그들의 조용한 모습 이면에 얼마나 격정이 치미는지 드러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신적이고 충성스러운 그들은 파트너의 있는 모습 그대로 인정하려고 노력하면서 독립성을 존중한다. 그렇긴 하지만 이들은 파트너의 배움과 성장, 목표 추구를 돕길 원한다.

중재자들은 항상 그들 자신과 그들 주변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생각해낸다. 그들이 가장 원치 않는 것은 파트너가 불행해지거나 고난에 빠지는 것이다.

<중재자들은 그들의 온정과 통찰력으로 그들이 아끼는 사람들을 잘 이해하고 파트너를 특별한 사람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그들의 창의성을 이끌어낸다.>

이 유형의 많은 사람들은 파트너의 삶을 향상시키는데 헌신한다. 이것은 매우 고귀한 일이기는 하지만 중재자들 자기자신의 목표를 잃어버려서는 안되며 그들의 파트너가 진정으로 변화할 준비가 되어있는지 확실히 해야한다. 그렇게 한다면 이들의 지지와 헌신은 파트너의 삶에 있어서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Finding What’s Real

Mediators tend to promote harmony over disagreement. Although this lends stability to their relationships, it can also lead to problems. To avoid triggering a conflict, Mediators may avoid talking openly about things that are bothering them – instead, they might mentally fixate on the problem or try to solve it on their own. They may also focus on making their partner happy, to the detriment of their own priorities and sense of self.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ay need to remind themselves that open, honest communication is necessary in a relationship, even if it isn’t always easy. In fact, such moments of candor can transform a relationship for the better.

As long as they communicate openly, Mediators are more than capable of staying true to themselves in a relationship – and encouraging the person they care about to do the same. By bringing their whole hearts and minds to their relationships, Mediators can find out what it truly means to love and be loved.

 

 

진짜 찾기

중재자들은 의견충돌이 있을 때 그것을 원만히 조정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그들의 연애관계에 안정을 주기도 하지만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이들은 문제에 대해 터놓고 이야기 나누는 것을 피할 지도 모른다. 대신 정신적으로 그 문제에 꽂혀 있거나 혼자서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그들은 또한 파트너의 기분에 맞춰서 그들 자신의 우선순위와 자존감을 손상시킬지도 모른다.

이들 유형의 사람들은 비록 항상 쉽지 않더라도 관계에 있어서 솔직하고 오픈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스스로 상기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사실 진솔함이 관계를 더욱 좋게 만들 수 있다.

열린 마음으로 소통을 하는 한 관계에 있어서 더욱 더 솔직한 자기 자신이 될 수 있고 파트너 또한 그렇게 격려할 수 있다. 온 마음으로 관계에 임함으로써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Friendships

우정

When it comes to their social lives, Mediators (INFPs) may find themselves caught in a web of contradictions.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crave alone time, but they’re also vulnerable to loneliness. They long to feel accepted and well-liked, but they hate the idea of pretending to be anyone but their authentic selves. And while they hesitate to draw attention to themselves, they don’t want to be invisible, either.

The good news is that, in the company of true friends, Mediators can escape the hamster wheel of these insecurities and focus on what really matters. For these personalities, friendship is a precious commodity – an opportunity for two people to lift each other up and change each other’s lives for the better. Mediators truly believe in the old saying that “a friend in need is a friend indeed.” Few things bolster their sense of purpose like being there for someone they care about.

Perhaps because of their intense investment in these relationships, Mediators tend to feel most fulfilled by spending time with a small, intimate circle of friends. Acquaintances may come and go, but this inner circle is likely to include Mediators’ friends for life.

 

사회생활에 대해 있어서 이들은 모순의 늪에 빠진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혼자만의 시간에 목말라 있지만 그들은 또한 외로움에 취약하다. 이들은 인정받고 사람들이 자신을 좋아해주길 간절히 바라지만 그렇다고 그들 자신이 아닌 다른 누군가인 척 하는 것을 굉장히 싫어한다. 이들은 자신에게 주위를 끄는 것은 망설이는 반면 눈에 띄지 않는 것 또한 원치 않는다.

다행인 점은 진정한 친구들 사이에 있을 때 중재자들은 이러한 불안정의 쳇바퀴에서 빠져나와 진짜 문제에 집중할 수 있다. 이들 유형의 사람들에게 우정이란 서로를 이끌어주고 서로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켜줄 수 있는 기회와도 같은 귀중한 것이다.

중재자들은 다음과 같은 속담을 진심으로 믿는다. “어려울 때 친구가 진정한 친구다아끼는 누군가를 위해 곁을 지켜주는 것과 같은 그들의 목적의식만큼 이것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것도 없을 것이다.

아마도 우정에 있어서 진지한 노력 덕분에 중재자들은 소수의 굉장히 가까운 친구 그룹과 함께 시간을 보냄으로써 매우 충족된 느낌을 받는 편이다. 가벼운 관계의 지인들은 계속해서 이들을 스쳐 지나갈테지만 이 작은 그룹은 중재자들의 평생 친구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Searching for a Kindred Spirit

Although Mediators are warm and accepting, they don’t always find it easy to make friends. This may be because superficial, casual relationships can leave these personalities feeling a bit empty. Mediators are looking for lasting, authentic friendships with people who share their desire to think and feel deeply, to do the right thing, and to give more to the world than they take from it.

Among kindred spirits,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feel accepted and understood, happy to be themselves and bloom in their own time.

That said, Mediators are capable of befriending all sorts of people. The combination of their Intuitive and Prospecting personality traits draws them to diverse perspectives, which helps them appreciate friends whose experiences and worldviews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eir own. Mediators may actually find it invigorating to connect with someone who, on the surface, has little in common with them.

For Mediators, a true friendship is founded on shared values, not just shared experiences.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are unlikely to form strong friendships simply out of convenience. For example, while their affection for their coworkers may be strong, just working in the same office or shop isn’t enough for Mediators to guarantee a substantial friendship. Deeper connections must come into play.

 

비슷한 영혼을 가진 친구를 찾는

중재자들이 따뜻한 마음과 수용적인 마음을 가졌다고는 하지만 언제나 친구를 쉽게 사귀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아마도 이들에게 있어 깊이 없고 가벼운 관계는 공허함을 줄 수 있기 때문일지 모른다. 중재자들은 깊게 생각하고 감정을 느끼고 싶어하는 갈망, 옳은 일을 하고자하는 갈망, 세상으로부터 받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주고자하는 갈망을 함께 할 수 있는 사람들과의 진정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찾고 있다.

이런 비슷한 영혼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이들은 이해받고 인정받는 기분을 느끼고 진정한 자기 자신의 모습으로 꽃을 피우며 행복을 느낀다.

그렇기는 하지만 이들은 모든 종류의 사람들과 친해지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직감적이고 탐구적인 성격 특성의 조합은 다양한 시각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는 이들과 전혀 다른 경험, 세계관을 가진 친구들의 진가를 알게 해준다. 중재자들은 (최소한 표면적으로는) 작은 공감대를 가진 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실제로 활기를 얻을지도 모른다.

중재자들에게 있어서 진정한 우정은 단순히 공유할 수 있는 경험이 아닌 함께 공유하는 가치로부터 이루어진다. 이들 유형의 사람들은 단순히 서로의 이용 가치에 의해 강한 우정을 만들지는 않는 편이다. 예를 들어, 이들이 직장 동료에게 가지는 애정이 강하다고 할지라도 단순히 같은 직장에서 일하는 것만으로 이들과 강한 우정을 가지기엔 충분하지 않다. 마음 속 깊은 연결이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Friends for Life

When Mediators befriend someone, they may secretly (or not so secretly) hope to stay close with that person for life. These personalities are capable of strong, stable relationships marked by passionate support, subtle poetic wit, and a profound level of emotional insight. Long-standing friendships tend to draw out less obvious aspects of the Mediator personality type, including a fierce protective streak. Many Mediators find that they can stand up for their friends in ways that they’d struggle to manage for themselves.

Although Mediators value their friendships, they also need personal space and alone time in order to recharge. At times,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ay withdraw from even their closest friends in order to reconnect with themselves and restore their energy, as all Introverts must. These departures are usually temporary, but Mediators may need to make sure that their friends don’t feel snubbed by their absence.

Even as their friendships grow stronger, Mediators’ enigmatic qualities never truly vanish.

Mediators look for ways to improve their friendships and share their affection with those who matter to them. Often, this takes the form of spending quality time with their friends – coming up with grand visions for the future and sharing their secret dreams and ideas with someone they know they can trust. But even when Mediators are entirely on their own, they always hold their friends in their hearts.

 

인생 친구

중재자들은 누군가와 친구 관계를 맺을 때 속으로(때론 드러나게) 상대와 평생 친구와 같은 가까운 관계를 꿈꿀지 모른다. 이들은 온 마음을 다하는 지지와 미묘한 정서적인 위트, 아주 깊은 감정적 이해로 이루어진 견고하고 안정된 관계가 가능하다. 오래된 친구 관계는 중재자 유형의 사람들의 사나운 자기보호 특성과 같은 잘 드러나지 않은 면을 이끌어내는 경향이 있다. 많은 중재자들이 그들의 친구를 위해 그들 스스로를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해 애를 쓴다는 사실을 안다.

비록 중재자들에게 있어 우정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이들은 재충전을 위해 자기 자신만을 위한 공간과 시간 또한 필요하다. 모든 내향적인 사람들이 그러하듯, 이들은 가끔 이들의 가장 친한 친구로부터에게서마저 떨어져나와서 그들 자신과 다시 연결되고 에너지를 재충전하는 시간을 가질지 모른다. 이러한 이별은 보통 일시적이지만 이들의 부재로 인해 친구들이 혹시나 무시당하고 있다는 감정을 느끼지는 않는지 확인하고 싶어할지 모른다.

<친구와의 우정이 점점 깊어질 때에도 중재자들의 이러한 수수께끼 같은 특성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

중재자들은 우정을 더 깊게 만들고 그들이 아끼는 사람들과 애정을 공유하고자 방법을 찾는다. 종종 이것은 이들이 진정으로 믿는 사람들과 함께 미래에 대해 계획을 세우거나 쉽게 털어놓지 않았던 자신만의 생각과 꿈을 공유하는 것과 같은 의미있는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들이 완전히 자기자신만의 시간에 빠져있더라도 언제나 이들의 마음속에서는 친구들과 연결되어있다.

 


 

▶ Parenthood

For Mediators (INFPs), life is a journey. But even as they find their own way through the world, these personalities feel called to help other people embark on their own journeys toward meaning, fulfillment, and happiness. In their understated, nondomineering way, Mediators love guiding others to learn and grow – and parenthood can be an incredibly rewarding opportunity for them to do exactly that.

From the start, Mediator parents aim to be warm, caring, and open-minded.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delight in their children’s wide-eyed wonder at the world, and they want to give their children freedom – freedom to form their own opinions, discover their own interests, and grow into their unique selves. Mediator parents counterbalance these freedoms by creating a stable foundation of support and acceptance, in hopes that their children never forget just how much they are loved.

Sensitive and perceptive, Mediators attune themselves to their children’s needs and perspectives. They want to know their children as unique, multidimensional individuals rather than as projections of themselves.

 

부모로서의 역할

중재자들에게 삶이란 긴 여행과 같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았다고 할지라도 타인 또한 삶의 의미와 실현, 행복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소명으로 여긴다. 이들은 절제되고 지배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타인의 배움과 성장을 돕는 것을 좋아한다. 그리고 부모역할은 믿을 수 없을 만큼의 보람을 느끼게 해주며 이것은 이들이 원하는 것을 정확히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시작부터 중재자 유형의 부모들은 따뜻하고 배려있고 열린 마음에 초점을 둔다. 이들은 세상을 향해 가지는 아이들의 순진무구한 놀라움을 즐긴다. 그리고 이들은 아이들 자신의 생각을 형성하고, 자신만의 관심사를 찾아가고, 유일한 존재인 자기자신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는 자유를 주고 싶어한다. 중재자들은 아이들이 사랑받는 존재라는 사실을 잊지 않길 바라며, 안정적인 지지 기반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자유의 균형을 맞춘다.

<섬세하고 통찰력있는 중재자들은 아이들이 원하는 것과 아이들의 관점에 자신을 맞춘다. 이들은 부모의 투영을 통해 아이들을 보는 것이 아닌 세상 유일하고 다차원적인 한 개인으로서 아이들을 알길 원한다>

 

Coping with Challenges

Mediators may enjoy raising free spirits, but that doesn’t mean that they’re totally hands-off. They want to teach key values to their children, including honesty, compassion, and the importance of caring for others. They also want their children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ersonal responsibility, especially when it comes to not hurting others.

Like parents of any personality type, Mediator parents inevitably face challenges. They take their parenting responsibilities seriously, so it can feel like a personal failure when their children misbehave in ways both large and small. These personalities may be especially upset when they see their children behaving in ways that don’t seem considerate or ethical.

With their hyperactive consciences, Mediators may blame themselves for their children’s misbehavior, even when doing so isn’t reasonable or productive.

When their children do something wrong, Mediators may find themselves wondering, Have I failed as a parent? The danger here is that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ight become so focused on blaming themselves that they don’t establish appropriate consequences for their children’s actions. Discipline may not come easily to Mediators, but when balanced with their caring, gentle natures, it can become a powerful tool in their mission to teach their children the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wrong.

 

도전을 해쳐나가는

중재자들은 아이들을 자유로운 영혼으로 키우고 싶어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아이들을 방치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들은 정직함, 연대감, 이타적인 마음과 같은 인생의 중요한 가치들을 가르치고 싶어한다. 또한 아이들이 책임감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이해시키려하며 특히 타인에게 피해를 주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가르치길 원한다.

다른 성격유형의 부모들과 마찬가지로 중재자들 또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들은 부모 역할에 있어서 매우 진지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크고 작은 문제 행동을 했을 때 그것이 자기 자신 개인의 실패로 느낄 수 있다. 특히 배려심이 부족하거나 도덕적으로 부적절한 행동을 했을 때 굉장히 화가 날 수 있다.

<중재자들의 지나친 양심 가책으로 인해, 오히려 비합리적이고 비생산적일지라도 아이들의 잘못된 행동에 이들 스스로를 질책한다>

아이들이 무언가를 잘못했을 때 이들은 자기자신에게 이런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나는 부모로서 실패한 걸까?’ 여기서 위험한 점은 아이들에게 적절하지 못한 행동의 결과를 초래하게 만든 것이 아닌지 본인 스스로를 질책하는 것에 심각하게 빠질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훈육은 어쩌면 중재자들에게 어려운 주제일지도 모르지만 이들의 배려심과 부드러운 성향의 조화가 있다면 아이들에게 옳고 그름을 가르쳐줘야하는 부모로서의 역할에 있어서 굉장한 힘을 가진 도구가 될 수 있다.

 

 

Balancing Structure with Spontaneity

Mediator parents naturally want to serve as good role models. They try to show their children the best side of themselves, keeping their problems, negative emotions, and frustrations under wraps. This can preserve a sense of harmony in the household, helping their children feel safe and cared for. By the same token, Mediators often try to shield their children from the greater problems in the world. This is certainly appropriate when their children are young, but eventually, Mediators need to find ways to talk through tougher issues with their kids.

Another hurdle for many parents with this personality type is establishing practical, day-to-day structures and rules for their children. Fortunately, Mediators can use their creative energy to impose boundaries without stifling their children’s curiosity and enthusiasm. These parents have a remarkable ability to put themselves in other people’s shoes, and this enables them to come up with schedules and rules that truly work for their children’s individual needs.

When they balance structure with spontaneity, Mediators can help their children grow into their most caring, responsible, and joyful selves. And that is exactly what these parents strive for – to raise children who recognize their unique gifts and talents and share them with the world.

 

체계와 자유의 조화

중재자 부모들은 당연하게도 멋진 롤모델의 모습으로 양육하고 싶어한다. 그들의 문제와 부정적인 감정, 감춰진 불만들을 숨긴 채 아이들에게는 가장 좋은 면을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이것은 아이들이 안전함을 느끼고 보살핌을 받는다고 느낄 수 있도록 가정의 조화로움을 지킬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중재자들은 종종 아이들을 세상의 큰 문제들로부터 감싸려고 노력한다. 이것은 아이들이 어릴 때엔 분명히 적절하지만 결국엔 아이들에게 조금 힘든 문제들을 말해줄 방도를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성격 유형의 부모들에게 또 다른 장애물은 매일 아이들을 위한 현실적인 체계와 규칙을 만드는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중재자들은 그들의 창의적인 에너지를 이용해서 아이들의 호기심과 열정을 억압하지 않고 경계를 만들어줄 수 있다. 이들 부모들은 타인의 입장이 되어보는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기에 아이들 개개인에게 진정으로 잘 맞는 계획과 규칙을 제시할 수 있게 만든다.

그들이 체계와 자유를 조화롭게 맞출 때 그들의 아이들은 최고로 배려심 있고 책임감 있고 행복한 자아로 자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정확하게 이들이 얻으려고 노력해왔던 것이다. – 아이 개개인의 유일한 특성과 재능을 깨닫고 그것을 세상과 공유하도록 키우는 것 말이다.

 


 

▶ Career Paths

진로

Many Mediators (INFPs) long for a career that doesn’t just take care of the bills but also feels fulfilling. They want to spend their days doing something they genuinely love, preferably without too much stress or drama.

For Mediators, an ideal career path should feel like a calling, not just a job. And if it doesn’t involve too many draining social interactions or phone calls, so much the better.

Ever the idealists, Mediators might struggle to find a profession that meets their practical needs and fulfills their dreams. These personalities may drift in frustration, waiting for the perfect job to present itself and eventually feeling stuck or worried that they’re not living up to their potential.

Alas, there’s no such thing as a perfect job, and the question of whether to settle for a less-than-ideal position can weigh heavily on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Fortunately, Mediators’ creativity, independence, and sincere desire to connect with and help others can help them shine – and find fulfillment – in nearly any line of work.

 

많은 중재자들은 단순히 돈을 목적 뿐만이 아니라 성취감을 느끼기 위한 진로 선택을 원한다. 그들은 가급적이면 너무 많은 스트레스와 극적이지 않은, 그들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을 하며 살길 원한다.

<중재자들에게 이상적인 진로는 단지 직업이 아닌 소명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너무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전화연락으로 진을 빼는 일이 없다면 훨씬 더 좋을 것이다.>

이상주의자인 중재자들은 자신의 실질적인 욕구를 충족해주고 꿈을 실현해주는 직업을 찾는 것에 늘 고군분투할지 모른다. 이들 성격은 완벽한 직업을 기다리다가 결국엔 벽에 부딪히고 그들의 잠재력을 이끌어 낸 삶을 살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을 하면서 좌절 속에서 표류할지 모른다.

이런, 이 세상에 완벽한 직업이란 없다. 그리고 결코 이상적이지 않은 이런 상황에 만족을 할지 말지에 대한 고민은 이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다행스럽게도 중재자들의 창의성, 독립성 그리고 타인과의 유대와 도움이 되고자하는 진정한 갈망으로 거의 대부분의 직업에서 뛰어날 수 있고 성취감 또한 찾을 수 있다.

 

A Place for Everyone

Certain careers and vocations seem to hold a special allure for these personalities. With their curiosity and their love of self-expression, many Mediators dream of becoming writers. They might write novels, seek out interesting freelance niches, or even find themselves doing communications in a corporate field or for a nonprofit organization. Richly imaginative, Mediators can infuse even the driest of fundraising or marketing materials with new life.

Sensitive to artistic beauty, some Mediators simply come to life in the worlds of writing, music, drama, or dance.

Although this personality type isn’t known for seeking the spotlight, other Mediators find their life purpose in the performing arts. These Mediators can draw from their inner depths to pull out exquisite interpretations of a creator’s work. They may also create their own works as playwrights, composers, or choreographers.

Whatever they do, Mediators want to feel that their work is helping others. It’s not surprising, then, that many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choose careers that are focused on service, such as counseling, psychology, teaching, health care, social work, massage therapy, or physical rehabilitation. For these caring, supportive personalities, few things are more meaningful than seeing their work help change someone’s life for the better.

 

이타적인 일자리

이 성격 유형의 사람들에게 특별한 매력을 가진 특정 직업과 소명이 있는 듯 하다. 중재자들은 호기심과 자기표현에 대한 애정으로 많은 이들이 작가가 되길 꿈꾼다. 그들은 소설을 쓰거나 흥미로운 프리랜서 일자리를 찾아내거나 법인기업 또는 비영리 단체를 위해 의사소통하는 일을 하고 있을지 모른다. 풍부한 상상력을 가진 중재자들은 메마른 모금활동이나 마케팅 재료에 새로운 삶을 불어넣어줄 수 있다.

<예술적 감각에 예민한 몇몇의 중재자들은 평탄하게 작가나 음악, 배우, 댄서의 삶을 산다.>

이 성격 유형의 사람들은 비록 유명세를 원한다고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어떤 중재자들은 예술 활동을 함으로써 자신의 인생 목적을 찾는다. 이러한 중재자들은 창작물의 정교한 이해를 끌어내기 위해 그들 내면의 깊이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들은 또한 각본가, 작가, 안무가로서 그들 자신의 작품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그들이 무엇을 하든지 그들은 자신이 하는 일이 남을 돕는 일이라는 것을 느끼고 싶어한다. 그렇기에 이 성격 유형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상담, 심리학, 교육, 건강관리, 사회활동, 물리치료와 같은 봉사에 중점을 두고 직업을 고른다는 사실은 놀랍지 않다. 이러한 배려심 있고 지지적인 성격 유형에게 있어서 타인에게 더 나은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일을 찾는 것만큼 의미 있는 일도 없다.

 

 

Finding Their Way

Mediators are adaptable, but they may find it demotivating to work in high-stress, bureaucratic, or hectic environments. They can also become frustrated by workplaces that are highly critical or competitive. Workplaces that reward independence tend to be a good fit for Mediators, although they may appreciate some structure and oversight to help them avoid procrastinating and getting lost in thought.

That said, Mediators don’t need ideal conditions to thrive professionally. These personalities want to live in tune with their values, in their careers as much as in any other aspect of their lives. They can put up with – and overcome – any number of challenges as they pursue a sense of mission in their work.

 

그들의 길 찾기

중재자들은 적응력이 좋지만 스트레스가 높거나 관료주의적이거나 정신없이 바쁜 환경에서 일하게 되면 의욕을 잃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매우 비판적이고 경쟁적인 업무 환경에서 좌절할 수도 있다. 가끔은 그들이 일을 미루거나 사색에 잠기지 않도록 도와주는 체계와 관리감독에 고마워할지라도 독립성을 보장해주는 근무환경이 중재자들에게 잘 맞는 편이다.

그렇긴 하지만, 중재자들에게 직업적으로 성공하기 위한 이상적인 조건들은 필요하지 않다. 이들 성격은 그들의 가치 속에서 리듬을 맞추고, 일만큼이나 그들 삶의 다른 면에서도 충분히 살 수 있길 원한다. 그들은 일에 대한 사명감이 있는 동안에 얼마든지 어려움을 견디고 극복해 낼 수 있다.

 


 

▶Workplace Habits

Mediators (INFPs) want to feel a sense of purpose in their work. Wherever they find themselves on the job ladder, they try to cultivate an emotional and moral connection to what they do – looking for reassurance that their day-to-day efforts are helping other people in some shape or form. This desire to be of service colors how Mediator personalities respond to authority in the workplace as well as how they express it.

 

직장에서의 모습

중재자들은 그들의 일에서 목적의식을 느끼고 싶어한다. 직장생활의 어떤 단계에서든 그들이 하는 일이 감정적, 도덕적으로 연결되도록 노력한다. 그들이 매일하는 노력들이 어떤 형태로든 다른 사람을 돕고 있다는 안도감을 찾으려고 하면서 말이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는 이러한 바램은 중재자들이 그것을 어떻게 나타내는지만큼 근무지에서의 권한에 어떤식으로 반응하는지에 영향을 준다.

 

Mediator Subordinates

As employees, Mediators tend to be loyal, upbeat, and considerate. They take pride in being honest and doing the right thing in all circumstances.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also feel gratified by pleasing others, from their bosses to their customers. Mediators feel most motivated when they’re thinking up ways to help others, not worrying about checklists or bottom lines.

This explains why praise and positive feedback can make them light up. On the flip side, criticism can lead these personalities to shut down. When faced with punishing expectations or a highly negative boss, they may find it hard to get things done. Add the distraction of a constantly ringing phone or an overflowing inbox, and you have a recipe for a seriously stressed-out Mediator.

Mediator employees enjoy having freedom and latitude. Their creativity and insight enable them to shake up old, ineffective ways of doing things – as long as they’re given the chance to speak up and make changes. That said, they tend to benefit from deadlines and clear expectations to keep them on track. Otherwise,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ight get caught up in procrastination, bouncing from one idea to another rather than settling down and crossing tasks off their to-do list.

 

직원으로서의 중재자

직원으로서의 중재자들은 충실하고 긍정적이며 사려깊은 편이다. 그들은 모는 상황에서 옳은 일을 하고 정직한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 또한 이 성격의 사람들은 그들의 상사부터 고객들까지 타인에게 기쁨을 주면서 만족감을 느낀다. 그들은 업무 리스트 체크나 최종 결산과 같은 일에 대해 걱정할 때가 아닌, 다른 사람들을 도울 생각할 때 가장 동기부여가 된다.

이것이 칭찬과 긍정적인 피드백이 그들을 활력있게 만들어주는 이유이다. 다른 한편으로, 비판은 이들을 멈추게 만든다. 어떤 일의 가혹한 결과가 예상되거나 매우 부정적인 상사와 마주하게 될 때 그들은 일을 끝내는데 어려움을 느낄지 모른다. 끊임없이 울려대는 핸드폰, 넘쳐나는 업무로 인한 방해는 중재자들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는 레시피와 마찬가지다.

근로자로서의 중재자들은 자유를 갖길 좋아한다. 그들에게 목소리를 높이고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한, 그들의 창조성과 통찰력으로 효과적이지 못하고 오래된 업무 방식들의 개혁을 일으킬 수 있다. 그렇기는 하지만 일의 마감시한과 명확한 예상은 그들을 샛길로 빠지지 않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반면에 이 성격의 사람들은 하나의 일에 몰두하지 못하고 여러 생각들 사이에서 날뛰면서 그들의 할일 목록에서 지워버리고 미루는 습관에 사로잡혀 버릴지도 모른다.

 

Mediator Colleagues

Mediators value equality and fairness, so it’s no surprise that they can feel stifled by workplace hierarchies. They prefer professional environments where everyone feels valued and is encouraged to share their ideas – no matter their job title. As colleagues, Mediators do what they can to make this ideal a reality.

In their quiet way, Mediators can become the glue that holds their workplace together. Although their voice might not be the loudest, they are often admired for their insight, with coworkers routinely coming to them for advice. Pleasant and kindhearted, Mediators don’t like conflict, drama, or workplace politics. Instead, they try to act in ways that foster harmony and cooperation. When someone needs help, Mediators tend to pitch in without any expectation of praise or recognition.

One of Mediators’ greatest contributions as colleagues is their empathetic communication style. These personalities speak in a way that’s honest but kind, which can set a positive tone for the entire workplace.

 

동료로서의 중재자

중재자들은 평등과 공정에 가치를 두기 때문에 직장의 계급체계에 답답함을 느끼는 것은 놀라운 일도 아니다. 그들은 직업 종류와 상관없이 모두가 가치를 존중받고 서로의 아이디어를 거리낌없이 공유할 수 있는 분위기의 전문적인 근무환경을 선호한다. 동료로서의 중재자들은 이러한 이상향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중재자들은 조용히, 일하는 곳에서 모두를 하나로 묶는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록 그들의 목소리가 근무지에서 가장 크지 않을지는 몰라도 동료들이 매일 찾아와 조언을 구할 만큼 그들의 통찰력은 종종 감탄의 대상이 된다. 쾌활하고 친절한 중재자들은 충돌이나 극적인 상황, 직장에서의 정치를 좋아하지 않는다.

그 대신 그들은 조화와 협력을 만들어나가는 방식으로 행동하려고 노력한다. 누군가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중재자들은 어떤 칭찬이나 인정도 기대하지 않은 채 협력하는 경향이 있다.

<직장 동료로서 중재자들의 대단한 기여 중 하나는 상대의 마음을 이해하는 소통 스타일이다. 이들은 직장 전체를 긍정적인 분위기로 만들어줄 수 있는, 솔직하지만 다정한 말투로 대화한다>

 

Mediator Managers

As managers, Mediators are among the personality types least likely to act as if they’re in charge. They respect their employees as full-fledged human beings, not just as workers. Rather than make all the decisions themselves, Mediators often ask to hear their employees’ thoughts and opinions.

In general,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don’t micromanage. Instead, they keep their eyes on the big picture. They see it as their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ir employees, not to tell them exactly what to do and how to do it. Whenever possible, they encourage the people who work for them to develop their own ideas and use their own best judgment.

There is a downside to this management style. Sometimes Mediators may struggle to set boundaries, drill down on inefficiencies, or offer criticism, even when it’s necessary. This can slow down their team and create needless stress, both for Mediators and for their employees. At times, managers with this personality type may need to be strict for the good of their team – and the workplace as a whole.

 

관리자로서의 중재자

관리자로서 중재자들은 여러 성격 유형들 사이에서 가장 관리자로서 행동하지 않을 것 같은 유형이다. 그들은 자신의 직원들을 단지 일하는 사람이 아닌 하나의 완전한 인간으로서 존중한다. 중재자 자신이 모든 결정을 내리기보다 직원들의 생각과 의견을 자주 물어본다.

일반적으로 이 유형의 사람들은 소소한 것까지 챙기지는 않는다. 대신 전체적인 그림을 보는데 집중해있다. 그들은 직원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일일이 알려주는 것이 아닌 지지해주고 응원해주는 것이 자신들의 할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언제든지 힘이 닿는 만큼, 그들을 위해 일해주는 직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스스로 최고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해준다.

이러한 관리 스타일에도 부정적인 면은 있다. 관리를 위한 제한선을 설정하거나 비능률적인 상황을 분석하거나 비판을 하는 등 꼭 필요한 상황에서도 이러한 행동을 하는데 가끔 어려움을 느낄지 모른다. 이는 중재자와 그들의 직원 모두에게 필요없는 스트레스를 주고 팀 전체의 능률을 떨어트릴 수 있다. 가끔은 팀과 전반적인 근무지를 위해 엄격할 필요가 있을지 모른다.

 

Conclusion

Few personality types are as poetic and kindhearted as Mediators (INFPs). With their unique gifts, Mediators can overcome all sorts of challenges and obstacles – and brighten the lives of those around them in the process.

Mediators’ creativity, imagination, and kindness prove to be invaluable in many areas, including their own personal growth.

Yet Mediators can be tripped up in areas where idealism and altruism are more of a liability than an asset. When it comes to finding (or keeping) a partner, making friends, pursuing a meaningful career, or planning for the future,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ay need to consciously develop their weaker traits and gain new skills – even as they draw on their many strengths.

 

결론

소수의 성격 유형들만이 중재자(INFP) 성격유형과 같이 서정적이고 정이 많다. 그들의 유일한 재능으로 모든 도전들과 장애물들을 극복해 낼 수 있고 그 과정에 그들 주변의 삶들도 밝게 빛내줄 수 있다.

그들 개인의 성장을 포함해 여러 많은 곳에서 이들의 창의성, 상상력, 친절함이 얼마나 귀중한 것인지 보여진다.

그렇지만 그들의 이상주의와 이타주의가 도움이 되기보다 골칫거리가 되는 상황에서 실수하게 될 수 있다. 반려자를 찾거나(함께하거나), 친구를 만들거나, 의미있는 직업을 해나가거나, 미래를 계획할 때에 있어서 이들은 의식적으로 그들의 약점을 발전시키고 그들의 수많은 강점에 힘을 받으며 새로운 기술을 익힐 필요가 있을지 모른다.

 

The Secret Life of Mediators

What you have read so far is just an introduction into the complexity of the Mediator personality type. You may have muttered to yourself, “Wow, this is so accurate, it’s a little creepy,” or “Finally, someone understands me!” You may have even asked, “How do they know more about me than the people I’m closest to do?”

This is not a trick. You felt understood because you were. We’ve studied how Mediators think and what they need to reach their full potential. In the process, we’ve learned how people with your personality type can overcome even their greatest personal challenges.

But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you need to have a plan, a personal road map – a vision for where you want to head and why. In this introduction, you’ve learned how Mediators tend to behave in certain circumstances and what their key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Here’s the truth: knowing and accepting yourself is the first step to moving forward and making positive changes in your life.

 

중재자들의 비밀스러운 삶

당신이 지금까지 읽은 내용은 중재자 타입의 복잡함으로 향하는 소개일 뿐이다. 당신은 아마 혼자서 와우, 이거 완전 정확한데? 좀 소름돋아라거나 드디어 누군가 나를 이해해주고있어!”라고 중얼거렸을 수 있다. 당신은 심지어 어떻게 나랑 가장 가까운 사람들이 나를 아는 것보다 더 많이 나에 대해서 알 수 있지?”라며 물어왔을 수도 있다.

이것은 속임수가 아니다. 실제로 당신이 그런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해받는다고 느낀 것이다. 우리는 중재자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그들의 최대 잠재력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연구해왔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이 성격 유형을 가진 사람들이 그들의 일생일대의 도전들까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계획이 필요하고 자신만의 로드맵(어디로, 왜 가고싶은지에 대한 그림)이 필요하다. 이 소개 글에서 당신은 중재자들이 특정한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 편이고 그들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인지 배워왔다.

<핵심은 이것이다. 자기 자신에 대해 알고 받아들이는 것이 앞으로 나아가고 인생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첫 걸음이다.>

 

 

Moving Forward

Now that you’ve learned the basics, the next step on your self-discovery journey is your Premium Profile. Filled with Mediator-specific guidance and advice for every area of your life, from your career to your relationships, your Premium Profile will empower you to understand what it really means to be a Mediator – what it really means to be you. If you’re ready to create your own path through life, move on to the next section.

 

한걸음 앞으로

이제 당신은 기초를 배웠기 때문에 당신 자아 발견을 위한 여정의 다음 단계는 프리미엄 프로필이다. 직업에서부터 인간관계에 이르기까지 인생 전반의 여러 부분들을 위한 중재자 맞춤 가이드와 조언으로 채운 상태에서 프리미엄 프로필은 중재자들에게, 당신에게 진정으로 의미가 있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할 힘을 줄 것이다. 일생을 통하는 자기 자신만의 길을 만들어볼 준비가 되었다면 다음 영역으로 이동하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