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d you know that everytime musicians pick up their instruments, there are fireworks going off all over their brain? On the outside, they may look calm and focused reading the music and making the precise and practised movements required. But inside their brains, there’s a party going on. How do we know this? Well, in the last few decades, neuroscientists have made enormous breakthroughs in understanding how our brains work by monitoring them in real time with instruments like FMRI and PET scanners. When people are hooked up to these machines, tasks, such as reading or doing math problems, each have corresponding areas of the brain where activity can be observed.
악기 연주자들이 연주를 할 때 그들의 머리 속에서는 축제가 펼쳐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 악보를 읽고 연습된대로 정확한 움직임을 보여주면서 겉으로는 침착하고 집중하는 모습일지 몰라도 그들의 뇌 속에서는 파티가 열리고 있다. 이것을 어떻게 아냐고? 그건바로 지난 몇 십년에 걸쳐 신경 과학자들이 획기적으로 이뤄온 업적 덕분이다. FMRI와 PET 스캐너와 같은 기계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우리의 뇌가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 알아왔다. 이들 기계에 사람이 연결되고 책읽기나 수학문제 풀기와 같은 처리가 이루어질 때 각각의 처리에 해당하는 뇌 부위가 활성화되는 것을 발견했다.
But when researchers got the participants to listen to music, they saw fireworks. Multiple areas of their brains will lighting up at once, as they processed the sound, took it a part to understand elements like melody and rhythm, and then put it all back together into unified musical experience. And our brains do all this work in the split second between when we first hear the music and when our foot starts to tap along.
그러나 참가자들에게 음악을 들려주었을 때 연구자들은 그들의 뇌에서 축제가 펼쳐지는 것을 보았다. 참가자들의 뇌는 다양한 부위가 활성화되어 동시에 빛난다. 그리고 이것은 들려오는 소리를 받아들이고 멜로디, 리듬과 같은 요소들을 이해하기 위해 작게 분해시키고 그것을 다시 통합된 음악적 경험으로 합치는 동안 이루어진다. 우리의 뇌는 이 모든 작업을 우리가 음악을 듣기 시작하고 스텝을 밟으며 박자를 느끼기 시작하는 찰나의 시간에 처리한다.
But when scientists turned from observing the brains of music listeners to those musicians, the little backyard fireworks became a jubilee. It turns out that while listening to music engages the brain in some pretty interesting activities, playing music is the brain’s equivalent of a full-body work out. The neuroscientists saw multiple areas of the brain light up, simultaneously processing different information in intricate, interrelated, and astonishingly fast sequences.
그러나 과학자들이 음악을 듣고 있는 사람들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사람들로 관찰대상을 바꾸었을 때 그들의 뇌 속에서는 뒤뜰의 작은 폭죽놀이가 거대한 축제현장이 되는 것을 발견했다. 음악을 듣는 행위가 뇌 속에 어떤 꽤 흥미로운 활동을 일으키기는 하지만 음악을 연주하는 행위는 뇌에 있어서 전신운동에 맞먹는 행위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신경 과학자들은 뇌가 복잡하고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으며 놀라울 정도로 빠른 일련의 사건들에서 다른 정보들을 동시에 처리하면서 다양한 부위가 빛을 내는 것을 보았다.
But what is it about making music that sets the brain alight? The research is still fairly new but neuroscientists have a pretty good idea.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engages practically every area of the brain at once, especially the visual, auditory and motor cortices. And as with any other workout, disciplined, structured practice in playing music strengthens those brain functions, allowing us to apply that strength to other activities.
그렇다면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 도대체 뭐길래 이렇게 뇌를 불붙게 만드는걸까? 그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불과하지만 신경 과학자들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악기 연주는 사실상 뇌의 모든 부위에 동시에 영향을 준다. 그중에서도 특히 시각, 청각 그리고 운동 피질 영역에 자극을 준다. 그리고 다른 운동들과 마찬가지로, 악기 연주에 있어서도 체계적이고 잘 훈련된 연습은 이러한 뇌 기능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강화된 뇌 기능은 다른 활동들을 하는데 있어서도 같은 힘을 준다.
The most obvious difference between listening to music and playing it is that the latter requires fine motor skills, which are controlled in both hemispheres of the brain. It also combines the linguistic and mathematical precision in which the left hemisphere is more involved, with the novel and creative content that the right excels in.
음악을 연주하는 것과 듣는 것의 드러난 가장 큰 차이점은 음악을 연주하는 경우에 양쪽 대뇌에 의해 제어되는 소근육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좌뇌에서 더 많이 관여하는 언어적, 수학적 정확성과 우뇌에서 더 특출난 참신하고 창의적인 내용을 결합한다.
For these reasons, playing music has been found to increase the volume and the activity in the brain’s Corpus callosum, the bridge between the two hemispheres, allowing messages to get across the brain faster and through more diverse routes. This may allow musicians to solve problems more effectively and creatively, in both academic and social settings. Because making music also involves crafting and understanding its emotional content and message, musicians often have higher levels of executive function, a category of interlinked tasks that includes planning, strategizing, and attention to detail and requires simultaneous analysis of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음악을 연주하는 것은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corpus callosum의 활동과 용량을 증가시켜준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래서 더 다양한 길로 빠르게 좌뇌와 우뇌를 정보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음악가가 교육적이거나 사회적인 환경에서의 문제들을 보다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할지도 모른다. 음악을 만든다는 것은 그 음악의 감성적인 메시지와 내용을 이해하고 창조하는 작업이기도 하기때문에 음악가들은 종종 높은 수준의 실행 능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계획과 전략을 짜거나 세부적인 것에 집중하는 능력 또는 인지적, 감정적 관점 모두에서 동시 분석을 요구하는 일련의 작업들을 실행하는 능력에 뛰어나다.
This ability also has an impact on how our memory systems work. And, indeed, musicians exhibit enhanced memory functions, creating, sotring and retrieving memories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Studies have found that musicians appear to use their highly connected brains to give each memory multiple tags, such as conceptual tag and an emotional tag, and an audio tag and a contextual tag, like a good Internet search engine.
이러한 능력은 우리의 기억 장치 기능에도 영향을 준다. 그리고 확실히 음악 연주자들이 창작, 저장, 기억 상기 처리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하면서 뛰어난 기억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음악 연주자들은 그들의 잘 연결된 뇌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억에 다양한 이름표를 붙여둔다는 사실이 연구에서 드러났다. 예를 들어, 개념의 이름표, 감정의 이름표, 소리의 이름표 그리고 문맥의 이름표를 붙여서 마치 뛰어난 인터넷 검색 엔진과 같은 작동을 하는 것이다.
So, how do we know that all these benefits are unique to music, as opposed to, say, sports or painting? Or could it be the people who go into music were already smarter to begin with? Neuroscientists have explored these issues, but so far, they have found that the artistic and aesthetic aspects of learning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are different from any other activity studied, including other arts. And several randomized studies of participants, who showed the same levels of cognitive function and neural processing at the start, found that those were exposed to a period of music learning showed enhancement in multiple brain areas, compared to the others.
그러면 어째서 이러한 장점들이 스포츠나 미술이 아닌 오로지 음악에만 해당되는 걸까? 아니면 음악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시작할 때부터 이미 뛰어난 걸까? 이 문제에 대해 신경 과학자들이 지금까지 연구해온바에 의하면, 악기를 배우는 예술적, 심미적 측면이 음악 이외의 예술을 포함한 다른 활동들과 다르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부 무작위 연구에서 처음에는 동일한 인지 기능과 신경 처리 수준을 보였던 참가자들이 다른 활동과 비교했을 때 악기를 배우는 과정에서 동시에 다양한 부위의 뇌 기능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This recent research about the mental benefits of playing music has advanced our understanding of mental function, revealing the inner rhythms and complex interplay that make up the amazing orchestra of our brain.
악기 연주가 주는 정신적 이점에 대한 이 최근 연구로 인해 우리의 정신 기능에 대한 이해를 한층 높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악기 연주가 내면의 변화를 일으키고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우리 뇌 속에서도 멋진 오케스트라 연주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출처] - https://youtu.be/R0JKCYZ8hng
'Translating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OO] 가벼운 운동일지라도 뇌가 나이들어가는 것을 늦출 수 있다고 연구결과는 암시한다. (0) | 2022.08.17 |
---|---|
What’s the best country to live in? (0) | 2022.07.10 |
[영어 번역] 기후변화의 완화 : 상승하는 지구의 기온 0.1도 중요하다 (0) | 2022.04.20 |
[역사 번역] 일본은 어떻게 한국을 지배했나 (0) | 2022.03.11 |
[ENGOO] 세계 가장 큰 크루즈선 출항하다 (0) | 2022.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