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anslating/...영어

[ENGOO] 인간이 메머드의 멸종을 가속화 시켰다고 연구는 말한다

by noopy00 2022. 2. 10.
반응형


Humans Sped Up Woolly Mammoth Extinction, Says Study

Research has found that humans played a significant part in speeding up the extinction of woolly mammoths.

Scientists have long debated whether it was humans or climate change that caused the extinction of woolly mammoths. A study published in Nature in October 2021 blamed climate change more than anything else, for example. However, a newer study led by researchers from the University of Adelaide and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suggests that without human activity, climate change wouldn't have been enough to kill off the species.

Lead author Damian Fordham from the University of Adelaide explained that we already know that humans hunted woolly mammoths for their meat, skins, bones and ivory. However, it's been hard to say exactly what different roles both human activity and climate change played in the extinction of the species.

To better understand woolly mammoths' pathway to extinction, the researchers used computer models to cross-reference evidence from fossils and ancient DNA with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and human populations. This allowed them to identify the threats and other factors that were key to both early reductions in mammoth populations and, later, their extinction — covering about 20,000 years.

The study found that humans may have sped up woolly mammoth extinction by as much as 4,000 years in some places where the climate alone would have allowed them to continue to live. This challenges the idea that climate change was the main reason woolly mammoths died out.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woolly mammoths may have survived on the Arctic mainland thousands of years later than had been believed based on fossils alone — living in small areas with good climate conditions and few humans.

Separate research has found that most of the world's mammoth populations had disappeared by around 10,500 years ago, with small groups only surviving in places like St. Paul Island in Alaska until 5,600 years ago, and Wrangel Island in the Arctic Ocean until 4,000 years ago. The new study also confirmed evidence of woolly mammoths living in Siberia around 5,000 years ago.

인간이 메머드의 멸종을 가속화 시켰다고 연구는 말한다
메머드의 멸종을 가속화시키는데 인간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다고 연구에서 밝혔다.

메머드의 멸종 원인이 인간인지 기후 변화인지에 대해서 과학자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왔다. 그 예로 2021년 10월 발간된 Nature에 실린연구에서는 다른 어떤 것 보다도 기후변화를 원인으로 꼽았다. 그러나 아들레이드와 코펜하겐의 대학교에서 이뤄진 연구들의 새로운 결과에서는 인간들의 활동이 없었더라면 기후변화는 메머드 종 전체를 사라지게 하기엔 충분하지 않았을 거라고 한다.

우리는 이미 인간들이 메머드의 고기, 피부, 뼈와 상아를 얻기위해 사냥을 해왔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아들레이드 대학교 연구의 주요 필자 Damian Fordham은 설명했다. 그러나 메머드 멸종에 미친 인간의 활동과 기후 변화의 각 역할이 정확히 어떻게 다른지는 말하기 어렵다.

메머드를 멸종으로 이끈 것이 무엇인지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연구진들은 환경과 인구에 대한 정보와 함께 화석과 고대 DNA로부터 전후 참조 흔적에 대한 컴퓨터 모델을 사용했다. 이를 통해 약 20,000년 동안의 메머드의 이른 개체수 감소와 이후 멸종에 이르기까지 주요 사실과 위협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기후만 두고 봤을 때 충분히 메머드가 계속 살아갈 수 있는 지역에서 무려 4,000년이나 일찍 메머드가 멸종한 사실을 알게되었고 인간이 그 시간을 단축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이는 기후변화가 메머드 멸종의 주요 원인이라는 가설에 맞서는 것이다.

또한 화석에만 근거했던 것에 비해, 1,000년 이후까지 메머드가 북극 본토의 좋은 기후 조건을 가지고 인간의 수가 적었던 작은 지역에 살고 있었을 것이라고 연구에서는 밝혔다.

세계 대부분의 메머드 개체는 약 10,500년 전에 사라졌지만 오직 작은 규모의 메머드 무리만이 알래스카의 St. Paul Island에서 5,600년 전, 북극해의 Wrangel Island에서 4,000년 전까지 살고 있었다고 별도 연구에서 밝혔다. 새로운 연구에서도 시베리아에서 약 5,000년 전 메머드의 삶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